2022년 아동학대로 신고접수된 건
>46,103건
2023년 아동학대로 신고접수된 건
>48,522건 (2022년 대비 5.2% 증가)
신고접수) : (’19) 41,389건 → (’20) 42,251건 →
(’21) 53,932건 → (’22) 46,103건 → (’23) 48,522건
학대판단) : (’19) 30,045건 → (’20) 30,905건 →
(’21) 37,605건 → (’22) 27,971건 → (’23) 25,739건
1. 아동학대 판단은 25,739건
이중 미취학아동(0~6세)이 22.6%
2. 학대행위자 중 부모의 비중은 85.9%
(2022년 대비 3.2%p 증가)
학대행위자 중 부모 비중) : (’19) 75.6% → (’20) 82.1% →
(’21) 83.7% → (’22) 82.7% → (’23) 85.9%
학대행위자 중 대리양육자는 1,874건 (7.3%)
3. 가정내에서 발생한 비중이 82.9%
(부모의 동거인, 유치원 또는 초・중・고 교직원,
학원 및 교습소 종사자, 보육교직원, 시설종사자 등)
4 그러나
학대피해 아동을
가정으로부터 분리보호한 사례 2,393건
(전체 학대판단 사례 중 9.3%)
5. 재학대 사례는 4,048건
(전체 아동학대 사례 중 15.7%)
재학대 비율) (’18)10.3% → (’19)11.4% →
(’20)11.9% → (’21)14.7% → (’22)16.0% → (’23)15.7%
6. 학대로 인한 사망 아동의 수는 총 44명
(2022년 50명보다 6명 감소)
2세 이하(36개월 미만)가 13명(29.5%)
6세 이하 영유아는 27명(61.4%)
아동학대 사망 아동 수) (’19) 42명 → (’20) 43명 →
(’21) 40명 → (’22) 50명 → (’23) 44명
항생제 내성 완화 효과 (1) | 2024.09.22 |
---|---|
올해 첫 일본뇌염 환자 발생 (1) | 2024.09.06 |
미국 최초의 수소 허브 LA (0) | 2024.08.25 |
자동차 취득세 감면 (1) | 2024.08.15 |
간 건강과 관절염엔 헛개나무 (0) | 2024.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