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환자 미수금 대지급사업]
의료비 부담능력이 없는 응급환자가 적기에 응급의료를 제공받고
진료비는 정부에서 마련한 기금을 활용하여 지급해줌으로써 의료기관의 진료거부를 방지하고
국민의 존귀한 생명, 신체를 보호
[응급처치 교육지원 및 자동제세동기 보급지원 사업]
‘18년 기준 일반인 심폐소생술 실시율 19.1%, 심정지 환자 생존퇴원률 8.7%에 불과한 현 응급처치 수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홍보의 강화 및 응급처치 장비의 배치 영·유아·아동 자녀를 가진 부모,
교사 대상으로 가정 내 응급처치 이론, 실습교육 등을 제공하여 아동안전사고 예방 및 응급처치 능력 향상
[응급의료 전용헬기 운영 지원]
응급의료 사각지대 해소 및 취약지역 응급환자 이송체계 구축을 위해 응급의료 전용헬기를 도입
외상, 뇌질환, 심장질환 환자 발생시 의사가 탑승하고 5분 이내 출동하여 치료의 전문성 및 이송의 신속성 제고
[응급의료기관 지원]
응급의료기관의 법정 지정기준 충족 여부 및 응급의료서비스 질적 수준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른 국고보조금 및 응급의료수가 차등을 통해 응급의료 수준 향상 도모
[취약지역 응급의료기관 육성]
응급의료 취약지역에 응급의료기관을 육성하여 응급의료 안전망을 구축하고 국민의 생명과 신체를 보호
응급의료분야 취약 지역내 응급실 운영기관에 국고보조금 지원
[중증외상 전문진료체계 구축]
365일 24시간 중증외상환자에게 병원도착 즉시 응급수술 등 최적의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시설 · 장비 · 인력을 갖춘
외상전용 치료기관 설치
전국 어디서나 1시간 이내에 중증외상환자의 진료가 가능하도록
중증외상센터를 균형 배치하여 지역사회 의료안전망 향상
응급의료정보망 구축
다가오는 고령화 · 정보화 · 첨단화 사회의 응급의료서비스 환경 변화에 대비하여 다양한 정보요구의 효과적 처리를 위한 선제적 응급의료정보망 구축암,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또는 원발성 폐암을 추가로 진단받은 경우, 추가 진단받은 암종의 진단연도 기준으로 최대 3년까지 추가 지원. 단, 해당 구분별 지원 대상자 선정기준에 적합하여야 함.
만능다지기 김장철 강력추천 (0) | 2023.10.19 |
---|---|
치매검진무료로 받으세요 (1) | 2023.10.19 |
암환자의료비 지원 (2) | 2023.10.17 |
의료급여혜택 확인하기 (0) | 2023.10.16 |
긴급복지지원제도 (0) | 2023.10.15 |